c언어 기초 썸네일형 리스트형 c언어 배열 array - 나도코딩 유튜브 나도코딩 c언어 기초 강의 내용입니다. 배열은 여러개의 변수를 함께 동시에 생성한다고 볼 수 있다. 메모리 상에 연속으로 위치함. 동일한 자료형을 많이 담을 때 주로 사용한다. 변수가 많아지면 하나하나 모두 선언하기 힘든데, 이 때 배열을 사용하면 같은 자료형의 데이터를 보다 쉽게 선언 할 수 있다. 자료형 배열명[배열크기] = {초기화 값}; 으로 선언하면 된다. 물론 초기화 값은 생략하고 나중에 초기화 해줘도 된다. #include int main(void) { // 배열 // 여러 개의 변수를 함께 동시에 생성 int subway_array[3]; // [0] [1] [2] subway_array[0] = 30; subway_array[1] = 40; subway_array[2] = 50; .. 더보기 c언어 함수 function - 나도코딩 유튜브 나도코딩 c언어 기초 강의 내용입니다. 함수는 기본적으로 반환형 함수이름(전달값) {실행할 코드}로 이루어지고, 선언과 정의는 main함수 밖에서 해야한다. 반환값과 전달값은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다. #include void p(int num); void function_without_return(); int function_with_return(); void function_without_params(); void function_with_params(int num1, int num2, int num3); int apple(int total, int ate); int main(void) // main이란 함수인데 파라미터(전달값)이 없고 반환형이 정수형이다. // void는 반환값이나 .. 더보기 c언어 loop, 반복문, 이중반복문, for,while, do while - 나도코딩 유튜브 나도코딩의 c언어 기초 내용입니다. #include int main(void) { printf("HelloWorld\n"); printf("HelloWorld\n"); printf("HelloWorld\n"); printf("HelloWorld\n"); printf("HelloWorld\n"); printf("HelloWorld\n"); printf("HelloWorld\n"); printf("HelloWorld\n"); printf("HelloWorld\n"); printf("HelloWorld\n"); return 0; } HelloWorld를 10번 출력하고 싶으면 이렇게 printf("HelloWorld\n"); 를 10번 반복해서 출력할 수 있다. 하지만 10번이 아니라 엄청 많이 하고싶.. 더보기 c언어 조건문 if else break continue switch~case rand 랜덤- 나도코딩 유튜브 나도코딩 c언어 기초 강의 내용입니다. #include int main(void) { // 버스를 탄다고 가정 학생/일반인으로 구분 (일반인 : 20세) int age = 25; if (age >= 20) { printf("일반인입니다.\n"); } else { printf("학생입니다.\n"); } return 0; } if를 이용해서 조건에 따라 다른게 실행되게 할 수 있다. age가 20이상이면 "일반인입니다."를 출력할 것이고 20보다 작다면 "학생입니다"를 출력할 것이다. #include int main(void) { for (int i = 1; i = 6) { printf("나머지 학생은 집에 가세요. \n"); break; // for문 탈출함. } printf("%d번 학생은 조별 .. 더보기 c언어 변수,자료형, printf, scanf - 나도코딩 유튜브 나도코딩 c언어 기초 강의에 대한 내용으로 공부하였습니다. #include int main(void) { //정수형 변수에 대한 예제 int age = 12; printf("%d\n", age); age = 13; printf("%d\n", age); // 실수형 변수에 대한 예제 float f = 46.5; printf("%.2f\n",f); // %.2f는 소수점 둘째자리까지 나타낼 수 있다. double d = 4.428; printf("%.2f\n", d); // 상수에 대한 예제 const int YEAR = 2000; // const를 사용해서 YEAR는 더 이상 바뀔 수 없음. printf("태어난 연도 : %d\n", YEAR); // printf // 연산 int add = 3 +.. 더보기 이전 1 2 다음